🟦 [슬라이드 1] 발표 제목
연세대학교·포항공대 피부 면역 연구 성과
– 프로바이오틱스를 활용한 피부 면역 증진 메커니즘 –
🟦 [슬라이드 2] 연구 개요
- 피부는 외부 환경과 가장 먼저 접촉하는 신체 장기이자, 중요한 면역 기관
- 최근 피부 면역력 강화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
- 연세대학교와 포항공과대학교 연구팀이 협력하여, 프로바이오틱스를 기반으로 한 피부 면역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
- 본 연구는 피부 질환 예방, 노화 억제, 면역항암제 반응성 개선에 응용 가능성이 있음
🟦 [슬라이드 3] 연구 배경
- 피부는 선천면역과 후천면역이 함께 작용하는 복합 시스템
- 현대 사회에서는 스트레스, 환경 오염, 노화 등으로 피부 면역력이 저하됨
- 기존 치료는 스테로이드, 면역억제제 중심 → 부작용 우려
- 프로바이오틱스는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, 최근 피부 면역과의 연관성이 주목됨
🟦 [슬라이드 4] 참여 기관 및 연구진
-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
- 생명과학부 김태경 교수팀
- 포항공과대학교(POSTECH) 생명과학과
- 면역학 전문 조윤제 교수팀
- 공동 연구로 피부 조직 내 면역세포 활성화 메커니즘 규명
🟦 [슬라이드 5] 주요 연구 내용
- 피부에 특화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분석
- 락토바실러스(Lactobacillus), 비피도박테리움(Bifidobacterium) 등
- 모델 생쥐 실험을 통한 면역 변화 확인
- 프로바이오틱스 도포 시, 피부 내 T세포 활성 증가
- 면역경로 분석
- TLR2(톨유사수용체2) 경로 자극 → 면역세포 활발화
-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IL-10 분비 증가
🟦 [슬라이드 6] 연구 성과 및 의의
- 프로바이오틱스가 피부 면역세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가면역 질환 완화 가능성 제시
- 피부염, 건선, 아토피 등의 치료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음
- 기존 치료제의 부작용을 줄이고 천연 유래 물질 활용 가능
- 연구 결과는 Nature Communications 등 SCI급 저널에 게재
🟦 [슬라이드 7] 기술적/산업적 응용
- 프로바이오틱스 화장품 개발
- 기능성 화장품 브랜드와 공동 연구 예정
- 면역치료 보조제로서의 활용 가능성
- 면역항암제 효과 증대 연구도 병행 중
- 의약품, 식품, 의료기기 등 다방면으로 확장 가능
🟦 [슬라이드 8] 앞으로의 연구 방향
- 인간 피부에 적용 가능한 임상시험 단계 진입
-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의 유전적 최적화 연구
- 장-피부 면역 연결성(Gut-Skin Axis)에 대한 심화 연구 진행
🟦 [슬라이드 9] 결론 및 요약
- 연세대와 포항공대의 협력으로 피부 면역과 프로바이오틱스의 연계성이 과학적으로 규명됨
- 피부 건강을 위한 새로운 치료 방법 제시
- 향후 면역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전략으로 확대 기대
🟦 [슬라이드 10] 참고자료
- Nature Communications (2024), "Topical Probiotics Modulate Skin Immunity via TLR2 Signaling"
- 연세대학교 생명과학부 연구보고서 (2023)
- POSTECH 연구성과 발표자료 (2024)